전체 글
-
고려-거란(요) 관계에서 '조공책봉관계'와 당대적 맥락에서의 해동천하 -카테고리 없음 2022. 10. 8. 14:15
통상 10~13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다원적 국제질서'나 '다극체제'로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한국사 교육과정이나 대중적 통념에서 고려는 자신만의 '해동천하'를 구성하고 황제국 체제를 운용한 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기서 거란(요)과의 '조공책봉관계'는 은폐되어 단순히 '교류' 내지 '친선'으로 서술될 뿐이다. 그리고 고려와 금 제국간의 '조공책봉관계'가 이자겸이라는 부정적 인물의 입지로 말미암아 부득이하게 성립된 관계처럼 묘사함으로써 서희의 담판과 귀주대첩에서 승전한 고려와 거란 제국과의 종속 관계는 자연스레 설 자리를 상실하고 만다. 한편으로는 송과의 활발한 '교역'을 부각함으로써 고려는 마침내 다원적 국제질서에서 천하의 중심에 선 황제국으로 거듭날 수 있다. 과거 김옥균과 해리 파크..
-
'중화'와 '소중화'의 '사대자소(事大字小)'라는 '상상'에 대하여카테고리 없음 2022. 9. 15. 00:00
명•청 제국과 조선의 종속 관계에서 조선 지배층이 전유한 '소중화주의'에 대해 일본 식민주의는 그것을 '사대주의'로 폄하하였고, 한국 민족주의에서는 이에 대한 반발로 '소중화'를 보편 문명(중화)에 다음가는 '선취자'로 본질화한다. 그 과정에서 이른바 '조공책봉관계'는 광역적 통치질서에 있어 본질화된 보편 문명(유교)을 자주적으로 선취하는 행위로 국한, 탈맥락화된다. 아울러 '사대자소(事大字小)'라는 과거의 언설이 새롭게 소환되어 이상적이고 평화적인 '유교적' 관계를 창출한다. 이제 이 '유교적' 관계에서의 부정하기 어려운 폭력성은, 그 불가분적 구성이 아니라 '일탈'로 예외화될 뿐이다. 그러나 이 '유교적' 관계는 단지 '유교적'인 데서만 특수성을 지닐 뿐이다. 제국과 한반도의 관계에서 유교는, 피동적..
-
근대 초기, 동양적 맥락에서의 '종속국'과 '식민지' 그리고 '자주 독립'에 관하여 -시암과 청 제국-카테고리 없음 2022. 8. 21. 00:00
동아시아에서는 조선을 '속국(Vassal State)' 또는 '종속국(Dependent State)'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주장이 통념으로 자리잡고 있는데, 그중 한국에서는 모종의 역사적 맥락에 따라 그런 통념이 아주 굳게 뿌리내리고 있다. 그것을 요약하자면, 동양의 '조공국(Tributary State)'과 서양의 '근대적 속국'이 완전히 다른 개념으로, 때문에 1880년대 이래 청 제국이 조공국 조선을 '종속국'으로 규정한 것은 역사적 사실의 왜곡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관련 자료를 탐색해보면서 '속국(Vassal State)', '종속국(Dependency)', '조공국(Tributary State)' 등이 등가관계에 있는 개념에 불과하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하지만 19세기 이..
-
쿠빌라이 카안, 고려를 복속하고 주권을 보장하다 - '조군(육사)'를 중심으로 -카테고리 없음 2022. 8. 5. 10:28
13~14세기 몽골(원) 복속기, 고려가 원 제국에서 행정적으로 '성(省, Province)'이라거나, 고려국왕을 '투하(投下)'로, 그가 관할하는 고려 인구를 봉읍(封邑) 내지 채읍(采邑), 즉 '아이막(ayimaq, 愛馬)' 정도로 보고자 하는 경우가 있는 듯하다. 이들은 대개 고려의 재래왕조체제가 '부마고려국왕(駙馬高麗國王)'의 '왕부(王府)'와 '투하령(投下領)'의 특색에 불과하다는 모리히라 마사히코(森平雅彦)의 견해를 피상적으로 흡수하여, '원 간섭기'라는 용어를 '지배'보다 '간섭'으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고 왕조의 유지를 강조하는 한국사학계에 비판적이다. 아울러 고려를 원 제국의 '점령지(Occupied Territory)'나 '식민지(Colony)'로 전망하고자 한다. 일전에 모 네..
-
대한제국기 '제주도 식민지 논란'에 관한 검토 - '합병'과 '식민주의' 그리고 '내부식민지'를 중심으로 -카테고리 없음 2022. 7. 12. 23:46
모 학교에서 상기의 지문이 출제된 것을 두고 작년 10월부터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인지 나무위키에서도 '대한제국의 제주도 식민지설'이라는 문서가 생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 논의는 이 문제가 무엇을 참조했는지 제대로 검토조차 되지 못한 채 각자만의 결론에 도달하고 상대를 모독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을 뿐이었다. 필자는 구글링을 통해서 이 지문이 어떤 자료를 참조했는지 쉽게 유추할 수 있었다. 해당 지문의 출전은 홍기돈(2017). "근대 이행기 민족국가의 변동과 호모 사케르의 공간 -현기영의 ≪변방에 우짖는 새≫, ≪바람 타는 섬≫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64집으로 짐작된다. 홍기돈은 제주도 출신의 문학비평가로 1996년에 중앙대학교에서 "김수영 시 연구"로 문학석사..
-
홍무제, '조공책봉관계'로 조선에 지배질서를 관철하다카테고리 없음 2022. 7. 1. 16:52
오카모토 다카시(岡本隆司)는 조명관계와 조청관계를 구분하고, 전자를 '종번관계(宗蕃關係)'로, 후자를 '종속관계(從屬關係)'로 명명하고 있다. 그 이유는 청의 경우 세자를 인질로 잡거나, 막대한 세폐를 조공하게 하는 등 조명관계에 비해 훨씬 엄격하고 가혹한 요구를 했다는 것이다. 그 연장선상에서 명대에는 '번속(藩屬)'으로, 청대에는 '속국(屬國)'으로 구분을 시도한다. 하지만 이러한 그의 시도는 작위적이라는 인상을 지우기 힘들다. '종속관계'로 지칭할 수 있는 범주가 포괄적이고 탄력적이기도 하고, 주대 봉건제 이념을 고사와 그에 수반하는 각종 미사어구로 포장된 4·6변려체적 서술에 현혹되어 조선과 명의 종속관계보다는 이념적인 질서에 불과하다는 늬앙스를 풍기고 있기 때문이다. 청 제국의 흥기라는 광역적 ..
-
청말 대조선 정책은 전통적인가 근대적인가?카테고리 없음 2022. 5. 28. 21:42
1880년대부터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에서 일본이 조선의 "완전무결한 독립자주(完全無缺之獨立自主)"를 선언하기까지 청 제국의 대조선 정책에 대해 한국학계와 중국학계의 판이한 입장차가 확인된다. 한국학계는 "성교자유(聲敎自由)"나 "속국자주(屬國自主)" 등의 정치적 언설을 명·청 제국과 조선의 '조공책봉관계'를 관통하는 설명으로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고, 1882년 이후 청 제국의 대조선 정책을 '속국화'¹ 내지 '식민화'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반해 중국학계는 서양의 '종주권(suzerainty)'과 차별되는 전통적 '종주권'을 상정하고 1880~90년대 청 제국의 대조선 정책을 전통적 종주권의 강화로 파악하거나, '조공관계'의 연장선에서 그 정책을 이해함으로써 청말의 제국주의적인 면모를 부정하고 있다..
-
조공책봉관계의 불간섭 원칙과 1880년대 청의 속국화 명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카테고리 없음 2022. 1. 13. 19:23
북양대신 이홍장(李鴻章)은 1879년 7월 {조선의 내정·외교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조선을 청국의 영향권 아래에 둠으로써 청의 안보를 유지하자}는 정책을 건의하였다. 이에 광서제(光緖帝)는 대조선정책을 승인하는 유지(諭旨)를 내리면서 중국이 조선의 내정과 외교에 간섭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전례가 없는 일이므로 이를 완곡하고 신중하게 처리하라고 지시하였다. 이후 청국은 조선에 서양 각국과 조약을 체결하도록 권고하면서도, [내치와 외교는 자주]라는 전통적 의미의 사대관계를 계속 유지하였다. 1882년 임오군란 이후 청국은 이러한 전통적 관계를 뛰어넘어 군사를 파견하여 군란을 진압하고 대원군을 납치하였다. 또 외교통상고문과 군사교관 파견을 통해 조선의 내·외정에 대한 통제를 꾀하는 등, 이른바 조선 속방화정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