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중화
-
고려-거란(요) 관계에서 '조공책봉관계'와 당대적 맥락에서의 해동천하 -카테고리 없음 2022. 10. 8. 14:15
통상 10~13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다원적 국제질서'나 '다극체제'로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한국사 교육과정이나 대중적 통념에서 고려는 자신만의 '해동천하'를 구성하고 황제국 체제를 운용한 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기서 거란(요)과의 '조공책봉관계'는 은폐되어 단순히 '교류' 내지 '친선'으로 서술될 뿐이다. 그리고 고려와 금 제국간의 '조공책봉관계'가 이자겸이라는 부정적 인물의 입지로 말미암아 부득이하게 성립된 관계처럼 묘사함으로써 서희의 담판과 귀주대첩에서 승전한 고려와 거란 제국과의 종속 관계는 자연스레 설 자리를 상실하고 만다. 한편으로는 송과의 활발한 '교역'을 부각함으로써 고려는 마침내 다원적 국제질서에서 천하의 중심에 선 황제국으로 거듭날 수 있다. 과거 김옥균과 해리 파크..
-
'중화'와 '소중화'의 '사대자소(事大字小)'라는 '상상'에 대하여카테고리 없음 2022. 9. 15. 00:00
명•청 제국과 조선의 종속 관계에서 조선 지배층이 전유한 '소중화주의'에 대해 일본 식민주의는 그것을 '사대주의'로 폄하하였고, 한국 민족주의에서는 이에 대한 반발로 '소중화'를 보편 문명(중화)에 다음가는 '선취자'로 본질화한다. 그 과정에서 이른바 '조공책봉관계'는 광역적 통치질서에 있어 본질화된 보편 문명(유교)을 자주적으로 선취하는 행위로 국한, 탈맥락화된다. 아울러 '사대자소(事大字小)'라는 과거의 언설이 새롭게 소환되어 이상적이고 평화적인 '유교적' 관계를 창출한다. 이제 이 '유교적' 관계에서의 부정하기 어려운 폭력성은, 그 불가분적 구성이 아니라 '일탈'로 예외화될 뿐이다. 그러나 이 '유교적' 관계는 단지 '유교적'인 데서만 특수성을 지닐 뿐이다. 제국과 한반도의 관계에서 유교는, 피동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