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
근대 초기, 동양적 맥락에서의 '종속국'과 '식민지' 그리고 '자주 독립'에 관하여 -시암과 청 제국-카테고리 없음 2022. 8. 21. 00:00
동아시아에서는 조선을 '속국(Vassal State)' 또는 '종속국(Dependent State)'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주장이 통념으로 자리잡고 있는데, 그중 한국에서는 모종의 역사적 맥락에 따라 그런 통념이 아주 굳게 뿌리내리고 있다. 그것을 요약하자면, 동양의 '조공국(Tributary State)'과 서양의 '근대적 속국'이 완전히 다른 개념으로, 때문에 1880년대 이래 청 제국이 조공국 조선을 '종속국'으로 규정한 것은 역사적 사실의 왜곡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관련 자료를 탐색해보면서 '속국(Vassal State)', '종속국(Dependency)', '조공국(Tributary State)' 등이 등가관계에 있는 개념에 불과하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하지만 19세기 이..
-
청말 대조선 정책은 전통적인가 근대적인가?카테고리 없음 2022. 5. 28. 21:42
1880년대부터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에서 일본이 조선의 "완전무결한 독립자주(完全無缺之獨立自主)"를 선언하기까지 청 제국의 대조선 정책에 대해 한국학계와 중국학계의 판이한 입장차가 확인된다. 한국학계는 "성교자유(聲敎自由)"나 "속국자주(屬國自主)" 등의 정치적 언설을 명·청 제국과 조선의 '조공책봉관계'를 관통하는 설명으로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고, 1882년 이후 청 제국의 대조선 정책을 '속국화'¹ 내지 '식민화'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반해 중국학계는 서양의 '종주권(suzerainty)'과 차별되는 전통적 '종주권'을 상정하고 1880~90년대 청 제국의 대조선 정책을 전통적 종주권의 강화로 파악하거나, '조공관계'의 연장선에서 그 정책을 이해함으로써 청말의 제국주의적인 면모를 부정하고 있다..